국내 이동통신사들의 USIM 락 개방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단 USIM이란 단어부터 모르시는 분이 있을 것 같아서 잠시 이야길 해보면
흔히 HSDPA,WCDMA,3G폰이라 불리우는 폰들은 통화를 할려면 모두 USIM이라는 카드가 필요합니다. USIM 카드는 휴대전화의 주민등록증과 같은 것입니다. USIM카드도 구매할 경우 가격이 약 9000원정도 합니다. 물론 일부에서는 올해까지 무료인 곳도 있습니다.
앞서 "해외폰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포스팅에도 밝힌바 있지만 해외 단말기는 국내에서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옆 나라 일본 WCDMA폰을 국내로 가지고 와 통화하는 분을 몇분 봤는데 될 수도 있고 안될수도 있습니다. 되는 경우는 SKT에서 전상상 인증 해제를 하지 않았을 경우 되지만 SKT에서 인증 해제를 했다면 어제 되더라도 오늘 안될 수도 있는 겁니다.
해외에는 단말기를 기변하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습니다. 오늘은 이폰, 내일 저폰. USIM만 갈아 끼우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물론 앞의 경우가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GSM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유럽에서는 주파수만 맞으면 어느 단말기라도 USIM만 교체하면 통화가 가능합니다. 그런 부분을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 휴대전화가 없더라도 USIM카드만 있으면 다른 사람 단말기에 카드를 장착하고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사람의 단말기에서는 불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에서 작업하고 있는 USIM 락 해제는 일단 해외처럼 다른 단말기에 USIM을 사용해도 되는 것이 아닌 자기 명의의 단말기에만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두 골통같은 두개의 이동통신사가 있는데 지금 상태로는 두 통신사끼리도 안됩니다. 앙숙인지 아니면 지들끼리 짜고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아직 공식적인 내용이 나오고 있는 것이 아니어서 뭐라 말씀드리기는 어렵네요.
KTF는 이번달까지 USIM 락 개방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금 SKT는 일부에서 휴대전화에서는 USIM 바꿔 사용해도 통화가 잘 될겁니다. SKT는 벌써 10월초부터 진행되고 있으니까요. 그리고 3G 보조금이 2G보다 많았었는데 이제는 동일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왜 휴대전화 사용자에게 알리지도 않고 진행하고 있을까 궁금해집니다. KTF의 경우는 광고까지 준비하고 있다는데 정말 방송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USIM 락 완전 해제는 상당한 파장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옆나라 일본도 USIM락 개방 부분에서 고심하고 있는 것이 바로 보조금, 요금제도, 유통구조, 경쟁구도등 업계 전반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죠. 만약 "A" 통신사에서 휴대전화를 가입후 "B"통신사로 바로 옮겨 버린다면 단말기 보조금 회수가 불가능한 상황이 오게 됩니다. 고질적인 요금제, 단말기 보조금등 관련된 부분을 하루 아침에 개선하기는 어렵겠지만 점차 개선한다면 우리나라도 싸고 좋은 요금제에서 좋은 단말기를 가지고 통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써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WCDMA)의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탑재된다.
- 네이버 출처 -
흔히 HSDPA,WCDMA,3G폰이라 불리우는 폰들은 통화를 할려면 모두 USIM이라는 카드가 필요합니다. USIM 카드는 휴대전화의 주민등록증과 같은 것입니다. USIM카드도 구매할 경우 가격이 약 9000원정도 합니다. 물론 일부에서는 올해까지 무료인 곳도 있습니다.
앞서 "해외폰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포스팅에도 밝힌바 있지만 해외 단말기는 국내에서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옆 나라 일본 WCDMA폰을 국내로 가지고 와 통화하는 분을 몇분 봤는데 될 수도 있고 안될수도 있습니다. 되는 경우는 SKT에서 전상상 인증 해제를 하지 않았을 경우 되지만 SKT에서 인증 해제를 했다면 어제 되더라도 오늘 안될 수도 있는 겁니다.
해외에는 단말기를 기변하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습니다. 오늘은 이폰, 내일 저폰. USIM만 갈아 끼우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물론 앞의 경우가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GSM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유럽에서는 주파수만 맞으면 어느 단말기라도 USIM만 교체하면 통화가 가능합니다. 그런 부분을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 휴대전화가 없더라도 USIM카드만 있으면 다른 사람 단말기에 카드를 장착하고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사람의 단말기에서는 불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에서 작업하고 있는 USIM 락 해제는 일단 해외처럼 다른 단말기에 USIM을 사용해도 되는 것이 아닌 자기 명의의 단말기에만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두 골통같은 두개의 이동통신사가 있는데 지금 상태로는 두 통신사끼리도 안됩니다. 앙숙인지 아니면 지들끼리 짜고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아직 공식적인 내용이 나오고 있는 것이 아니어서 뭐라 말씀드리기는 어렵네요.
KTF는 이번달까지 USIM 락 개방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금 SKT는 일부에서 휴대전화에서는 USIM 바꿔 사용해도 통화가 잘 될겁니다. SKT는 벌써 10월초부터 진행되고 있으니까요. 그리고 3G 보조금이 2G보다 많았었는데 이제는 동일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왜 휴대전화 사용자에게 알리지도 않고 진행하고 있을까 궁금해집니다. KTF의 경우는 광고까지 준비하고 있다는데 정말 방송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USIM 락 완전 해제는 상당한 파장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옆나라 일본도 USIM락 개방 부분에서 고심하고 있는 것이 바로 보조금, 요금제도, 유통구조, 경쟁구도등 업계 전반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죠. 만약 "A" 통신사에서 휴대전화를 가입후 "B"통신사로 바로 옮겨 버린다면 단말기 보조금 회수가 불가능한 상황이 오게 됩니다. 고질적인 요금제, 단말기 보조금등 관련된 부분을 하루 아침에 개선하기는 어렵겠지만 점차 개선한다면 우리나라도 싸고 좋은 요금제에서 좋은 단말기를 가지고 통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Mobile Blog > Impres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가 폭발할 수 있는 원인 8가지 (31) | 2007.11.29 |
---|---|
구글 모바일 플랫폼 안드로이드 SDK 공개 (9) | 2007.11.13 |
국내 USIM 락 개방 어디까지 진행되나? (20) | 2007.11.09 |
해외폰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 (17) | 2007.11.06 |
SKT 개인정보 서류 고객에게 돌려준다 (4) | 2007.10.30 |
이동통신사들 핸드폰에 위피 로열티 비상 (6) | 2007.10.3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심락이 풀리면.. ㅋㅋ
2007.11.09 15:59 신고비기를 쓰는 우리누나 심카드와
아이플러그를 쓰는 우리엄마 심카드를
샤샤샥!
(이거 잼있겠는데요)
자기 명의만 해당 될껄요..지금쯤이면 될지도..
2007.11.09 22:15 신고비밀댓글입니다
2007.11.09 16:42메일 보내드렸습니다.
2007.11.09 17:13 신고비밀댓글입니다
2007.11.09 21:52네.. 다시 보내드렸습니다..
2007.11.09 22:06 신고USIM이 개방되면 KS20도 국내에서 쓸 수 있을까요? ㄷㄷ
2007.11.09 17:23KTF는 되기는 힘들겠지만 SKT는 인증해제만 하지 않았다면 가망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2007.11.09 21:52 신고KH1600으로 통신설정에서 검색하면 분명히 SK망이랑 KTF망이랑 뜨더군요 언제쯤 동일 핸드폰으로 두회사 모두 사용가능할지
2007.11.09 21:24아마도 이번 USIM락 개방에 두 통신사끼리는 안될겁니다.
2007.11.09 22:07 신고에휴 그렇네요 다른회사간 유심카드를 교체해서 사용하는것은 시스템 호환성 문제로 내년 하반기도 장담하기 힘들다는 기사가 나왔군요
2007.11.10 00:36두 통신사가 교체사용가능해서 USIM 락 개방이 어느정도 실효를 거둘텐데 이건 뭐 아무것도 안되니 거의 하나마나 입니다.
2007.11.10 11:00 신고락을 걸어둘 거면서 왜 USIM이 필수가 됐는지 아리송하네요. USIM 카드비가 목적이었을까요? ^^
2007.11.10 00:14원래는 락이 없어야 하는데 통신사끼리 폐쇄적이다보니 굳이 카드비 명목이었다고는 할 수 없죠.. 카드비 해봐야 만원도 안되고 지금은 꽁자인 곳도 있으니깐요..
2007.11.10 11:02 신고소프트뱅크가 한국에서, 일본과 같은 요금제로 시장진입한다면 재밌을텐데요^^
2007.11.10 05:50외국회사가 국내에 들어와야 골통같은 두 회사가 정신를 차리지..
2007.11.10 11:02 신고해주기는 한다고 하나요? 우리나라 통신사들에게는 큰 기대를 안걸어서말이죠
2007.11.11 11:23같은 통신사 자기 명의의 핸드폰은 교체사용이 가능합니다.
2007.11.12 08:16 신고필리핀은 GSM방식이며, Motorolla나 Nokia에서 WCDMA2100, GSM Triband를 기본으로 지원하는 폰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폰들은 GSM을 채택한 유럽 및 아시아지역 대부분에서 별도 로밍신청 없이 자동 로밍이 됩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Motorrazr V3xx, V8 또는 maxx(이 세 모델은 CDMA2100및 GSM Tri Band를 동시지원)를 한국에 가져갈 경우 자동로밍이 될까요? 참고로 여기 통신회사는 Globe Telecom으로 필리핀 최대 이통회사입니다.
2007.11.20 16:40댓글의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저한테 물어보는 것인지 아니면 알려주시는 것인지요..^^;;
2007.11.21 19:33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