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일본뉴스에 일본의 NTT도꼬모의 iPhone 발매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는 기사가 나왔다. 일단 NTT도꼬모가 iPhone을 발매하지 않는다고 해서 KTF가 발매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KTF지주인 NTT도꼬모가 발매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KTF로서는 확률이 더 낮아지게 되었다.
국내에 발매되지 않는 상황에서 3G iPhone을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을 하게 된다. 출시하면 좋을 듯 하지만 출시하지 않으니 아쉬울 따름이다. 아프리카도 수입하는데..
어제 새벽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WWDC08에서 애플이 예상대로 3G iPhone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출시 예정 국가에도 포함이 안되서 아쉬웠다. 국내 출시 휴대폰들이 고가의 정책을 달리는 것을 보면 무엇을 믿고 저러는지 모르겠지만 터치폰들이 상당한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것 보면 iPhone은 가격이 너무 착해서(2년 약정을 하지 않더라도 50~60만원정도?) 국내에 출시될, 출시된 제품들에 눈길이 갈지 모르겠다.
나 뿐만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애플의 아이팟 터치나 아이폰을 알고 있다면 80%는 구입하기를 원할 것이다. 그렇다면 한번쯤 생각해본 애플이 7월 11일 출시할 "3G iPhone을 국내에 발매 하지 않으니 국내에 가져와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져본다.
추후 3G iPhone이 출시가 되면 2G iPhone과 달리 이번에 출시될 3G iPhone은 애플스토어나 통신사 스토어에서 바로 구매와 동시에 통신사에 가입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발목을 잡고 있다. 이를 구입할려면 무조건 통신사에 가입해야 하는데 2G iPhone처럼 기기만 구입할 수 있는 상황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2G iPhone 발매때의 실수를 만회하려는 듯. 이번 3G iPhone은 한국어 키보드도 지원하고 있기에 국내에 가져와 아무런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빛을 바랬다.
어렵게 공기기를 비싼 가격으로 구입했다고 하자. 아마도 Ebay 같은 곳에서 구입할 수 있을 듯하고 약정하지 않은 가격이 기존 이야기 하는 20만원 가량(199달러)보다 비싼 가격에 구입했다 하더라도 iPhone을 국내에서 통화가 될 가망성도 그리 높지 않다. "7월에 망개방도 있는데" 라고 대답한다면 말이 망 개방이지 반쪽자리 망개방이라고 봐도 될 듯 하다. USIM카드를 휴대폰에 끼워도 통신사에서 등록을 하지 않는다면 사용할 수 없는 반쪽짜리 망 개방이다. SKT와 KTF가 각자 망에 등록된 IMEI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개통 이력이 있는 제품만 망 이동이 가능하고 iPhone의 경우 국내에 개통 이력이 없기 때문에 사실적으로 어렵다고 본다. 혹시라도 IMEI를 복제한다면 가능하겠지만 이는 불법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개인적으로 전파인증을 하더라도 블루투스가 제외된 단말기라면 가격이 저렴(?)하지만 블루투스가 내장된 단말기를 인증 받는다면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상황. 약 100만원을 호가하게 된다. 방법은 로밍을 한다면 가능하다. 그러나 로밍을 하면서까지 구입할 사람이 얼마나 많을까? 아마도 손에 꼽을 정도..2G iPhone처럼 통화하지 않고 PDA나 아이팟 터치처럼 사용한다면 가능은 하다.
우리나라는 정말 IT 강국 맞을까? 필요없는 미쿡산 쇠고기 말고 제대로된 물건 좀 수입해라.
댓글을 달아 주세요
라디오키즈님 여기서도 뵙네요
2008.06.11 10:44 신고usim 장착은 어렵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터보락 이라고 하는걸 미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모양이던데
그걸 사서 일단 어떻게든 써보고 싶네요.. 아이고~
일단 액티베이션을 하게 되면 꼼짝 달싹 할 수 없을 것 같은데요.. 일단 추후 공기계가 나올 것이 분명하지만 가격이 엄청날 것 같은데요..
2008.06.11 11:10 신고마지막 희망까지 날아가버리는군요..
2008.06.11 12:23 신고정녕 가져와도 못쓴다 말입니까? 헐,,,
혹시 모르죠.. KTF가 아이폰에 대한 IMEI를 열어놨을지도 -_-;; 이건 추후에 누가 총대를 메야할 것 같은데요..
2008.06.11 15:01 신고답답함이 막 절로 나오네요.
2008.06.11 15:20 신고요즘 국내에서 출시되는 터치폰들은 정말로 비교가 안되는데, 빨리 삼성이나 LG에 자극을 좀 줬으면 좋겠습니다.
조금 기다려도 좋을 듯 합니다.
2008.06.11 17:26 신고미국가면 사야겠어요 냐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2008.06.11 16:31 신고국내에도 기대해도 좋을 듯 싶은데요..
2008.06.11 17:27 신고아쉽기는 하네요..
2008.06.11 17:44 신고성능면에서 아주 괜찮은거 같은데요...
좀 있다 국내에서 사용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그 시간이 넘오래걸리면...
아이폰도 기능 면에서 조금 떨어지지 않을 까요....
암튼 여기 뉴질랜드에서는 삼성이랑 LG폰이 인기가 점점 나아지고있는데...
이거 여기서 출시되면..어찌될지.. 두고봐야겠네요..
글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시간이 지나면 그 만큼 다른 제품들 성능도 업그레이드 되니 빨리 출시가 됐으면 좋겠네요.
2008.06.12 08:44 신고국내 보호정책부터 바뀌어야 할듯 합니다.
2008.06.11 18:09 신고위에서 말씀하신 IMEI라든가 위피 등 외산 폰의 자유로운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것들부터 바뀌어야겠지요..
그래야만 외산 폰 자유롭게 사용하고 국내 폰 회사들 허접한 스펙을 고가로 파는 못된짓 안하겠죠...
하지만 현실은 답답...
그렇게 되면 국내 단말기 회사가 빡시게 돌아갈텐데 그렇게 해줄까요.. 저라면 윗동네에 로비라도 해서 막겠네요..
2008.06.12 08:39 신고가격은 확실히 아이폰이 비싼겁니다. 북미나 유럽에서 2년씩이나 약정하고 200달러까지 내면서 한달에 70달러까지 하는 요금을 내는 기기는 블랙베리정도인데 ....2년 계약이라면 보통 단말기는 보조금 100퍼센트 입니다. 뭐 70달러에서 충분한 전화 문자메세지 그리고 통신시간까지 커버될거 같지만 그래도 비싼편입니다.
2008.06.11 20:00 신고아이폰이 비싸기는 합니다만 그 만큼의 성능이 되니까 구매할 것 같은데요. 언제부터 내가 애플빠가 되버린건지 -_-;;
2008.06.12 08:44 신고2G iPhone 미리 사두길 잘한듯한데요. ㅋㅋ
2008.06.11 21:22 신고전 조금 더 기다려 볼렵니다.
2008.06.12 08:43 신고행자님께서 조금 오버하신듯 ^^
2008.06.11 22:11 신고북미 무선 통신 회사인 Verizon이나 AT&T에 가보시면
거의 기본이 2년으로 되어 있습니다.
물론 공짜폰들도 있지만 대부분 플립형 스타일에 오래전에 나온 별 기능 없는 기본 휴대 전화기 뿐이죠.
예를 들면 버라이존에서 판매되어지는 LG의 비너스나 보이에이져 또는 삼성의 글라이드도 2년 계약에 200불을 내셔야 합니다.
Palm에서 나온 Treo도 보통 300불이 넘죠.
삼성의 PDA폰인 SCH-i760도 2년을 계약하도 350불입니다.
http://www.verizonwireless.com/b2c/index.html
아이폰은 언락되어진 버전이 판매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2년 계약을 하지 않으면 비쌀거라는 이야기는 할 수 있지만 정확한 가격을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다만 2년 계약을 하고서도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 가격이 절대 비싸지 않다는 이야기죠. 게다가 성능대비를 보더라도 말이죠.
물론 전화비용이 EDGE를 사용한 아이폰보다 10불 더 비싸졌지만 속도가 비교되질 않습니까? EDGE 아이폰을 사용하는 저로써는 느림보 인터넷이 얼마나 짜증 나시는지 모를겁니다. 한달에 10불 더 내고서 Broadband 스피드를 낼 수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수긍을 하지 않을까요?
아무튼 현존하는 휴대 전화기 중에 아이폰 만한게 없는거는 사용해 보면 압니다.
사용자들중 90%가 만족한다고 하니 10명중 9명이 아이폰 사용에 만족한다는 뜻은 비용도 포함된게 아닐까요?
기존 2G 아이폰보다 이번 3G 아이폰이 비싸기기는 했습니다. 요금플랜에서 2년에 약 160달러정도인가 비싸졌죠..
2008.06.12 08:43 신고이참에 KTF 불매 운동이라도 (..)
2008.06.11 23:19 신고KTF도 복잡할 것 같네요..
2008.06.12 08:38 신고일본에서는 소프트뱅크가 6월 4일 올해안으로 발매할 것을 발표했고,
2008.06.12 01:21 신고(이로 인하여 도코모가 아이폰을 발매할 가능성은 완벽하게 0%가 되었죠)
애플이 7월 11일 발매를 발표함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일본도 7월 11일 발매가 확정되었죠-
소프트뱅크가 내놓게 되는 아이폰의 요금플랜과 가격에 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일본 애플도, 소프트뱅크도)
다음달 11일까지 얼마 남지 않았으니 조만간에 발표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다만 한달사이에 소프트뱅크의 사원들에게 교육을 끝내는 건 무리가 있기에,
소프트뱅크 대리점을 통한 발매보다는 애플 스토어를 통한 발매이지 않을까 하는,
얘기도 나돌고 있구요.
NTT 0%는 맞습니다. 소뱅은 모르겠지만 AT&T는 AT&T스토어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는군요..
2008.06.12 08:38 신고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2008.06.12 02:54 신고출시되면 어차피 언락에 대한 프로그램이 나올것이고
만약 USIM이 개방되고(최소한 통신사 내에서라도)
KTF나 SK에 3G PDA폰(비지니스용으로 나온 WIPI가 탑재안된)을
사용하고 있다면 쌍둥이폰을 만들수 있습니다.
IMEI 넘버는 프로그램상에서 속일수 있기때문에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사용하고 있는 PDA폰의 IMEI 넘버를 3G iPhone에 심는거죠
선구자들이 멋진 결과를 내놓았으면 좋겠습니다.
쌍둥이폰 만드는 것 자체가 불법인것으로 알고 있는데요..그게 브릿지 아닌가요
2008.06.12 08:36 신고로밍이 있었군요~^^
2008.06.12 13:30 신고좋은 정보 감사~ㅎㅎ
로밍은 조금 힘들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요금이 -_-;;
2008.06.12 14:52 신고국내의 전화기에서는 IMEI를 볼수 없게 막아놓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2008.06.12 15:41 신고심지어 AS센터에서도 정해진 컴퓨터에서 참관자를 놓고 보는 걸로 삼성기사분께 들었습니다.
일단 무리가 아닐가 싶습니다.
다행이 제가 쓰고 있는 핸드폰인 블랙잭에서는 여러 삽질을 거치면 볼수 있고 그래서 전 제 폰의 IMEI를 알고 있습니다.
아이폰 어플로 그런게 나온다면 전 국내 정발 안되어도 살것 같네요.
그런데 IMEI 변경하거나 복제하는 것은 불법이죠..
2008.06.12 21:40 신고우리나라는 휴대폰시장 잠그고있으면서 자동차는왜팔아먹으려하지???완전 스톤헤드.............
2008.06.13 21:44 신고사용자를 빌미로 대기업 배만 불려주는 거지요..
2008.06.16 07:49 신고그런데 IMEI 변경하거나 복제하는 것은 불법이죠.
2011.04.03 00:34 신고휴대폰시장 잠그고있으면서 자동차는
2011.04.03 01:03 신고동영상이나 반복적으로 시청이나 청취해야 하는 부분을 발로 콘트롤 할 수 있는 Foot Writer는 일단 발로 콘트롤 하기에 손이 자유로워 필기라던지 다른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2011.04.12 01:06 신고p하기에 손이 자유로워 필기라던지 다른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2011.04.12 17:52 신고동영상이나 반복적으로 시청이나 청취해야 하는 부분을 발로 콘트롤 할 수 있는 Foot Writer는 일단 발로 콘트롤 하기에 손이 자유로워 필기라던지 다른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2011.04.12 23:20 신고